사진: Unsplash의Ivan Aleksic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 그리고 함께 논의되고 있는 내신 5등급제.
많은 학생과 학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 두 제도의 핵심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요?
고교학점제는 고등학생이 대학처럼 자신의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한 학점으로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 모든 일반고에 전면 도입됩니다.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
진로 맞춤형 학습 가능
절대평가 기반의 평가 방식 검토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 교육이 대학처럼 바뀌는 제도입니다.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수업을 듣고, 일정 학점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며, 대한민국 고등학교 교육의 패러다임이 크게 전환됩니다.
🧑🎓 학생 선택권 강화 | 교과서 중심이 아닌, 진로 중심의 과목 선택 가능 |
📘 학점 기반 졸업제 | 일정 학점을 이수해야 졸업 가능 (기존 이수 단위와 다름) |
📊 성취도 평가 중심 | 상대평가보다 절대평가 확대 가능성 높음 |
🏫 수업 다양화 | 교과 융합형 수업, 프로젝트형 수업 확대 |
📈 진로 설계 강조 | 대학 전공, 직업에 맞춘 과목 설계 가능 |
✅ 진로가 뚜렷하고 전공 탐색을 미리 하고 싶은 학생
✅ 기존 주입식 수업보다 활동 중심 수업을 선호하는 학생
✅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춘 학생
그렇다면 내신 등급제는 무엇일까요?
🟨 내신 등급제란?
내신 등급제는 고등학생의 교과 성적을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현재는 9등급 상대평가 방식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등급 | 상위 4% |
2등급 | 상위 11% |
3등급 | 상위 23% |
4등급 | 상위 40% |
5등급 | 상위 60% |
6등급 | 상위 77% |
7등급 | 상위 89% |
8등급 | 상위 96% |
9등급 | 하위 4% |
🟥 내신 5등급제란?
내신 5등급제는 현재 교육부가 고교학점제와 연계해 검토 중인 새로운 평가제도입니다.
등급 수를 줄여 평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절대평가 방식과 결합될 가능성이 큽니다.
고교학점제가 본격화되는 2025년 이후부터 절대평가 기반의 내신 5등급제로 전환이 되었습니다.
고교학점제와 내신 5등급제는 우리 교육의 큰 전환점으로서
변화에 잘 적응하는 것이 결국 입시에서도 유리한 전략이 됩니다.
✅ 현재 내신 5등급제 적용 상황 (2025년부터)
- 2025학년도 고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국 고교에서 5등급 상대평가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내신 9등급 체제의 전면 폐지를 의미합니다
- 교육부는 모든 학년과 과목에 대해 5등급 상대평가를 적용하고, 동시에 절대평가(A~E) 병기도 가능한 구조로 설계했습니다
🎯 내신 5등급제 등급 비율 (상대평가)
등급누적 백분율
1등급 상위 10% 2등급 상위 34% 3등급 상위 66% 4등급 상위 90% 5등급 하위 10% 또한, 융합 선택 과목(통합사회·통합과학 등 9개 과목)에는 등급이 아닌 절대평가(A~E) 방식으로만 평가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학생 간 변별은 줄이고, 성취 중심 평가로 전환 중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 간단하게 살펴본 고교학점제와 내신 5등급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국내 교육의 새로운 전환점과 과제 (4) | 2025.08.11 |
---|---|
우리나라 사법고시의 역사와 로스쿨 제도,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을까? (4) | 2025.08.06 |
우리나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역사와 발전과정에 대하여... (3) | 2025.07.31 |